한국개발연구원 우리 사회의 공론화: 현재의 위치와 나아갈 방향은? 본문 설명 : 신고리 5ㆍ6호기 공론화 및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는 새로운 갈등해결 기제로서 공론화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분석적 관점에서 보면 담론의 대표성과 포괄성에 일부 결함이 발견되며, 공론화를 통한 사회적 컨센서스의 도출, 즉 공론 형성에도 한계를 드러냈다. 공적 의사결정에서 공론화 방식 채용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공론화를 좀 더 체계적으로 기획하고 지원ㆍ관리할 시스템과 전문적인 역량이 필요해 보인다. 분류체계 : 공공행정 기관명 : 한국개발연구원 바로가기 : https://www.data.go.kr/data/15086121/fileData.do 키워드 : 공론화,신고리,숙의민주주의 기관명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한 규제개혁 View 한국개발연구원 간접고용에 관한 연구 View 한국개발연구원 양부모가족에서 한부모가족으로의 가족 유형 변화와 아동의 발달 View 한국개발연구원 최근 물가상승률 점검 및 향후 전망 View 한국개발연구원 미국의 금리인상과 한국의 정책대응 View 한국개발연구원 우리나라 제조업 부문의 사업체간 자원배분 효율성 추이 및 국제비교 View 한국개발연구원 노동시장의 인적자원 배분기능 효율성 View 한국개발연구원(KDI) KDI 대분류 연구주제 View 한국개발연구원 혁신성장을 위한 한국 대외경제정책의 변환 View 한국개발연구원 대내외 여건 변화가 국내 소비자물가에 미친 영향 View 한국개발연구원 방과후학교, 어떻게 개선되면 좋을까? View 한국개발연구원 교육혁신과 인적역량에 관한 연구 View 한국개발연구원(KDI)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의 후생효과에 관한 연구 View 한국개발연구원 북한의 경제사회지표 분석: 복합지표조사(MICS)를 중심으로 View 한국개발연구원 최근 주택건설 호황에 대한 분석 및 전망 View 이전글 다음글 2025-07-27 02:39:53 한국개발연구원 우리 사회의 공론화: 현재의 위치와 나아갈 방향은?